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

덤프버전 : (♥ 0)

파일:AFC-Tournament-Logos_AFC-Women's-Asian-Cup-.png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75
홍콩
파일:대만 국기.svg
1977
대만
파일:인도 국기.svg
1979
인도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81
홍콩
파일:태국 국기.svg
1983
태국
6회7회8회9회10회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86
홍콩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1989
홍콩
파일:일본 국기.svg
1991
일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3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5
말레이시아
11회12회13회14회15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997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999
파일:대만 국기.svg
2001
대만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2006
16회17회18회19회20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08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0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2014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18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22


파일:For-Web-2.png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 펼치기 · 접기 ]
본선 [ 펼치기 · 접기 ]
조별 리그A조B조C조D조E조F조
결선 토너먼트16강8강준결승결승

세부 정보 [ 펼치기 · 접기 ]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
كأس_آسيا_لكرة_القدم_للسيدات_2018
파일:2018 AFC 여자 아시안컵 로고.png
대회기간4월 6일 ~ 4월 20일
개최국파일:UEFA JOR.png 요르단
본선 진출팀8개팀
대회 결과
우승일본
(2번째 우승)
파일: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준우승호주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중국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태국파일:Thailand FAT 2018.png
수상
골든볼파일:UEFA JPN.png 이와부치 마나
골든부트파일:UEFA CHN.png 리잉
연표
이전 대회2014 AFC 여자 아시안컵 (베트남)
다음 대회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

1. 개요
2. 본선 진출팀
3. 개최 도시 & 경기장
4. 시드 배정
5. 대회 진행
5.1. 조별 리그
5.1.1. A조
5.1.2. B조
5.3. 결선 토너먼트
5.4. 우승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주관하는 AFC 여자 아시안컵의 19번째 대회로, 2018년 4월 6일에서 4월 20일까지 요르단에서 개최되었다. 또한, 이 대회는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한 대회다.


2. 본선 진출팀[편집]



지난 대회에서의 실격으로 인해 예선 참가 대상으로 강등된 북한이 예선에서, 그것도 안방인 평양에서 탈락하는 일이 일어났다. 그 북한을 탈락으로 몰아넣은 팀이 바로 대한민국. 자세한 내용은 윤덕여호/2017년 문서 참고.


3. 개최 도시 & 경기장[편집]


도시경기장경기수용 인원
암만암만 국제경기장조별 리그 6경기 + 플레이오프 + 3위 결정전 + 결승전17,619명
킹 압둘라 II 스타디움조별 리그 6경기 + 준결승 2경기13,000명


4. 시드 배정[편집]


본선 조 추첨은 2017년 12월 9일에 실시되었다. 요르단은 A조에 배정되었으며, 나머지 7개팀은 2014 AFC 여자 아시안컵 베트남에서의 성적을 기준으로 배정되었다.



5. 대회 진행[편집]



5.1. 조별 리그[편집]


1위 (결선 진출)2위 (결선 진출)3위 (PO 진출)4위 (탈락)
A조파일:UEFA CHN.png 중국파일:UEFA THA.png 태국파일:UEFA PHI.png 필리핀파일:UEFA JOR.png 요르단
B조파일:UEFA AUS.png 호주파일:UEFA JPN.png 일본파일:UEFA KOR.png 대한민국파일:UEFA VIE.png 베트남


5.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UEFA CHN.png중국330015 - 1+149
2파일:UEFA THA.png태국32019 - 6+36
3파일:UEFA PHI.png필리핀31023 - 7-43
4파일:UEFA JOR.png요르단30033 - 16-130
결선 진출 | PO 진출 | 탈락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04.06.(금) 16:45파일:UEFA CHN.png중국4 : 0태국파일:UEFA THA.png암만
2018.04.06.(금) 20:00파일:UEFA JOR.png요르단1 : 2필리핀파일:UEFA PHI.png
2018.04.09.(월) 16:45파일:UEFA PHI.png필리핀0 : 3중국파일:UEFA CHN.png
2018.04.09.(월) 20:00파일:UEFA THA.png태국6 : 1요르단파일:UEFA JOR.png
2018.04.12.(목) 20:00파일:UEFA JOR.png요르단1 : 8중국파일:UEFA CHN.png
파일:UEFA THA.png태국3 : 1필리핀파일:UEFA PHI.png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5.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UEFA AUS.png호주31209 - 1+85
2파일:UEFA JPN.png일본31205 - 1+45
3파일:UEFA KOR.png대한민국31204 - 0+45
4파일:UEFA VIE.png베트남30030 - 16-160
결선 진출 | PO 진출 | 탈락
  • 승자승 승점: 호주 2, 일본 2, 대한민국 2
  • 승자승 골득실: 호주 1득 1실 (±0), 일본 1득 1실 (±0), 대한민국 0득 0실 (±0)

호주, 일본, 대한민국의 순위표 【펼치기·접기】
순위팀명경기수득실점득실차승점
1파일:UEFA AUS.png호주31201 - 1+12
2파일:UEFA JPN.png일본31201 - 1+12
3파일:UEFA KOR.png대한민국31200 - 002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04.07.(토) 16:45
KST - 2018.04.07.(토) 22:45
파일:UEFA JPN.png일본4 : 0베트남파일:UEFA VIE.png암만
2018.04.07.(토) 20:00
KST - 2018.04.08.(일) 02:00
파일:UEFA AUS.png호주0 : 0대한민국파일:UEFA KOR.png
2018.04.10.(화) 16:45
KST - 2018.04.10.(화) 22:45
파일:UEFA KOR.png대한민국0 : 0일본파일:UEFA JPN.png
2018.04.10.(화) 20:00
KST - 2018.04.11.(수) 02:00
파일:UEFA VIE.png베트남0 : 8호주파일:UEFA AUS.png
2018.04.13.(금) 16:45
KST - 2018.04.13.(금) 22:45
파일:UEFA JPN.png일본1 : 1호주파일:UEFA AUS.png
파일:UEFA KOR.png대한민국4 : 0베트남파일:UEFA VIE.png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자주색 글씨는 한국 시간)

대한민국죽음의 조에 걸려들어 1승 2무를 하고도 상대 전적에서의 다득점에서 일본과 호주에 밀려 무실점 탈락하고 말았다.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들은 승점이 같으면 승자승 원칙을 먼저 따지기 때문에[1] 마지막 경기에서 일본과 호주가 1:1 이상으로 비기면 대한민국은 베트남을 많은 점수차로 이겨도 4강에 갈 수 없는 상황이었고[2], 이렇게 윤덕여호14년 전 이탈리아 남자 대표팀과 같은 상황을 맞이하고 말았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여자 월드컵의 아시아 티켓이 5장이라 조 3위간 플레이오프에서 이기면 본선 진출이라는 것이다.


5.2.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플레이오프[편집]


일자팀명점수팀명장소
2018.04.16.(월) 20:00
KST - 2018.04.17.(화) 02:00
파일:UEFA PHI.png필리핀0 : 5대한민국파일:UEFA KOR.png암만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자주색 글씨는 한국 시간)

플레이오프 결과에 따라 대한민국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에 진출했다.


5.3. 결선 토너먼트[편집]


결선 토너먼트의 모든 경기는 암만에서 개최되었으며, 진출팀 전원이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에 직행했다.
준결승전결승전 / 3위 결정전
파일:UEFA AUS.png 호주 2 : 2 태국 파일:UEFA THA.png
(3 pen. 1)
2018.04.17.(화) 16:45 [KST - 2018.04.17.(화) 22:45]
파일:UEFA JPN.png 일본 1 : 0 호주 파일:UEFA AUS.png
2018.04.20.(금) 20:00 [KST - 2018.04.21.(토) 02:00]
파일:UEFA CHN.png 중국 1 : 3 일본 파일:UEFA JPN.png
2018.04.17.(화) 20:00 [KST - 2018.04.18.(수) 02:00]
파일:UEFA CHN.png 중국 3 : 1 태국 파일:UEFA THA.png
2018.04.20.(금) 16:45 [KST - 2018.04.20.(금) 22:45]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자주색 글씨는 한국 시간)



5.4. 우승[편집]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두 번째 우승)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38:49에 나무위키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는 유럽 축구 연맹 주관 대회들도 마찬가지.[2] 순위표 상으로만 보았을 땐 골득실차로 결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B조의 순위는 그에 앞서 상대 전적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세 팀이 모두 승점이 동률이기 때문에 그 다음 판단 기준은 전체 골득실이 아니라 승점이 동률인 세 팀간의 골득실로 판단한다. 물론, 이 경우엔 세 팀이 모두 무승부를 거두었기 때문에 다음 기준으로 넘어간다. 그 다음 기준은 세 팀간 전적에서의 다득점이다. 즉, 호주와 일본의 경우 두 경기에서 각각 0:0, 1:1씩을 기록하고 그 다음에야 베트남과의 전적에 따라 1위와 2위가 된 것이다. 따라서, 규정상 호주와 일본이 대놓고 골 많이 넣고 비기기로 담합하면 한국은 아무리 베트남을 큰 점수차로 이겨도 올라갈 수 없는 상황이었다.